2025/04 25

“MD 크림은 정말 메디컬일까?”화장품과 의약품 사이, 경계 위에 선 ‘MD 크림’의 진실

목차MD 크림, ‘Medical’이라는 이름의 마케팅화장품법에는 없는 MD 크림, 그럼 정체는 무엇인가?의약품처럼 보이고 싶은 화장품? 경계 마케팅의 전략사용 성분도 고기능, 그런데 표현은 더 민감해야‘MD’라는 말이 만들어낸 신뢰 vs 오해결론: MD 크림은 메디컬이 아니라, 메디컬처럼 ‘보이기 위한 설계’다MD 크림, ‘Medical’이라는 이름의 마케팅MD 크림, 들어보셨나요?의사들이 쓸 것 같은 디자인, 연고처럼 생긴 튜브 용기, "피부 장벽 강화", "병원 전용" 같은 문구들…이 모든 것은 소비자에게 ‘메디컬 느낌’을 심어주기 위한 장치입니다.‘MD’라는 단어는 보통 Medical Doctor 또는 Medical Device의 약자로 알려져 있지만,화장품 업계에서는 사실상 의약품처럼 신뢰감 있고..

화장품학 2025.04.04

"피부 자극 테스트 완료’는 진짜 안전하다는 뜻일까?” – 화장품 임상 표현의 진짜 의미와 오해

목차소비자에게 익숙한 '임상 완료' 표현들법적으로 ‘피부과 테스트 완료’라는 표현은 어떤 의미일까?화장품 인체적용시험의 종류와 목적“테스트 완료” 표현,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마케팅과 사실 사이, 소비자가 확인해야 할 것들결론: ‘완료’라는 말에 속지 말고, ‘내용’을 살피자소비자에게 익숙한 '임상 완료' 표현들요즘 화장품 광고나 제품 설명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문구 중 하나는 바로 이런 말들입니다:“피부과 테스트 완료”“자극 테스트 통과”“임상 시험 결과 98% 만족”“민감성 피부 대상 인체적용시험 완료”“논코메도제닉 테스트 완료”이런 문구를 보면 소비자는 자연스럽게 **‘이 제품은 안전하겠구나’, ‘검증된 거니까 믿을 수 있겠다’**고 생각하게 됩니다.하지만 정말 그럴까요?이 표현들에는 많은 오해와 ..

화장품학 2025.04.03

화장품에 사용되는 ‘의약품 성분’, 어디까지 허용될까?경계 위에 선 성분들의 법적 기준

목차화장품에 의약품 성분이 들어간다고?화장품법과 약사법의 경계선 – 무엇이 다를까?경계 위에 선 대표 성분들: 가능? 불가능?의약품 전환 성분과 그 기준은?광고할 때 주의해야 할 표현들결론: 성분 자체보다 '목적'과 '표현'이 더 중요하다 화장품에 의약품 성분이 들어간다고?최근 화장품 원료를 살펴보면, ‘이게 화장품에 들어가도 돼?’ 싶은 성분들이 많습니다.살리실산 (각질 제거)나이아신아마이드 (미백)아데노신 (주름 개선)황, 벤조일퍼옥사이드, 레티놀 등이들은 본래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던 것들이지만,현재는 화장품 성분으로도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그럼 어디까지가 허용이고, 어디서부터는 법적 문제가 될까요? 화장품법과 약사법의 경계선 – 무엇이 다를까?화장품과 의약품의 가장 큰 ..

화장품학 2025.04.01

“‘의료기기’일까, ‘화장품’일까?” – 갈수록 모호해지는 뷰티 디바이스의 법적 경계

목차LED 마스크, 고주파 마사지기... 이건 어디에 속할까?화장품 vs 의료기기 – 법적 기준은 이렇게 다르다문제는 광고 표현과 기능성 주장의 ‘수위’규제 대상이 된 대표 사례들경계 제품이 주의해야 할 광고 가이드라인결론: 뷰티 디바이스는 법과 마케팅 사이에서 조율이 필요하다LED 마스크, 고주파 마사지기... 이건 어디에 속할까?홈케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LED 마스크, 초음파 마사지기, 고주파 리프팅기, 갈바닉 디바이스 등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뷰티 디바이스' 제품군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이들 제품은 ‘미용’을 위한 목적이라 하더라도, 실제로는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생리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죠.문제는 이런 제품들이 도대체 어떤 법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지,즉 ‘의료기기..

화장품학 2025.04.01

공산품인데 ‘붓기 제거’,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말하면 안 되는 이유 – 법적 규제와 마케팅 가이드

목차공산품에도 규제가 있을까?붓기 제거, 스트레스 완화 – 어떤 표현이 문제일까?의약품·의료기기로 오인될 수 있는 대표 표현들그렇다면 안전한 표현은 어떤 것일까?공산품인데도 법적 제재 받은 실제 사례결론: 공산품도 법의 사각지대는 아니다공산품에도 규제가 있을까?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뷰티 패치, 마사지기, 릴렉스 밴드, 족욕기, 향기 스프레이 등은 대부분 공산품으로 분류됩니다.즉, 화장품·의약품·건강기능식품·의료기기와 달리 개별 법률에 의해 직접 규제되지 않는 일반 생활용품이라는 뜻이죠.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케팅이나 광고에서 아무 표현이나 써도 괜찮은 것은 절대 아닙니다.오히려 공산품이더라도 소비자에게 의약적·의료기기적 효과를 암시하는 표현을 사용할 경우,「약사법」, 「의료기기법」, 「표시·광고의 공정화..

화장품학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