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3

의약외품 vs 기능성 화장품자외선 차단제는 어디에 속할까?

목차자외선 차단제, 다 같은 화장품이 아니다?의약외품 vs 기능성 화장품 – 법적 정의 먼저 이해하자자외선 차단제의 이중 정체성 – 왜 두 분류가 있을까?같은 SPF 50+도 법적 분류는 다를 수 있다소비자가 알아야 할 표시 정보와 구별법결론: 기능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보는 눈이 필요하다자외선 차단제, 다 같은 화장품이 아니다?‘자외선 차단제는 화장품이다’라는 말, 절반만 맞습니다.우리가 사용하는 선크림, 선스틱, 선쿠션 등은 모두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법적으로는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어떤 선크림은 **‘기능성 화장품’**이고,또 다른 제품은 **‘의약외품’**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해외 직구 제품은 자외선 차단제이면서도 아무 표시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구분..

화장품학 2025.03.31

미백·주름 개선 화장품, 기능성 맞아?– 기능성 화장품의 정의와 오해

기능성 화장품이란? – 법적 정의부터 확인하자우리가 흔히 접하는 ‘미백 화장품’, ‘주름 개선 크림’, ‘탈모 완화 샴푸’ 등은 사실 **법적으로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대한민국 「화장품법」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인체의 피부 또는 모발에 사용하여 색소침착 완화, 주름 개선, 탈모 증상 완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 [화장품법 시행규칙 제2조제1항]즉, 단순한 ‘기능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국가가 정한 효능 범위 안에서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품이어야만 ‘기능성 화장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이 표현을 아무 제품에나 쓸 수 있을까요?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미백’, ‘주름 개선’ 표현, 아무나 쓸 수 없다‘미백’, ‘주름 개선’이라..

화장품학 2025.03.31

화장품 성분 공개의 모든 것전성분 표시, 어디까지 의무일까?

목차화장품 전성분 표시, 왜 중요한가?법적으로 전성분 표시는 어디까지 의무인가?예외는 있을까? 표기하지 않아도 되는 성분표기 기준이 까다로운 성분들: 향료, 복합성분, 나노 성분온라인몰, 해외 직구 제품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을까?결론: 소비자와 브랜드가 함께 지켜야 할 기준화장품 전성분 표시, 왜 중요한가?요즘 소비자들은 화장품을 고를 때 패키지 디자인보다 '성분표'부터 확인합니다. 특히 민감성 피부이거나 특정 알레르기 유발 성분에 민감한 경우, 전성분 확인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그러나 전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려 해도 표현 방식이 어렵거나 생략된 성분이 있을 경우 혼란을 겪게 됩니다. 이럴 때 소비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바로 “이 성분들, 정말 전부 맞는 걸까?” 하는 의문입니다.이번 글에서는 ..

화장품학 2025.03.31